본문 바로가기

동기부여3

[책리뷰][몰입] 한가지 통찰이 그들을 천재로 만들었다? 천재들을 천재로 만든, 우리 삶 속에 깊은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입니다. 이러한 거부감이 드는 단어가 우리들의 역사 속에 남은 거대한 사람들을 한 사람 한 사람 만들어 내었다고 합니다. '죽음'에 대한 통찰이 어떻게 그들을 천재로 변화시켰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그들이 최선을 다하는 이유 그 이유는 '죽음'에 대한 공포 때문입니다. 유한한 시간에 '죽음'을 의식하면서 최선을 다하는 것입니다. 천재와 평범한 사람의 차이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위기가 오면 최선을 다해서 상황을 해결하려고 합니다. 그것은 천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위기가 떠나가고 일상이 찾아오면 우리는 최선을 다하지 않습니다. 이유가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2023. 7. 10.
[책리뷰][마음의 법칙] 과잉정당화효과, 동기부여, 보상 마음의 법칙, 읽으면 읽을수록 쉬운 책입니다. 어려울 수 있는 용어를 쉬운 예를 들어 이야기해 줍니다. 인간에게 외적인 보상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봅니다. 1. 학생과 할머니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를 기꺼이 돕는 학생이 있습니다. 학생은 근처에 사시는 할머니를 위해 장을 봐드리고 기쁜 마음으로 대화하며 할머니의 든든한 친구가 되어줍니다. 만약 그 할머니가 충분히 돈이 많다면, 할머니가 친구가 되어준 학생을 위해서 만나면 어떤 금액의 사례를 하고 싶다면, 그 학생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2. 과잉정당화 효과 사람은 외부의 자극에 의해 내면의 동기를 약하게 하거나 없애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은 스스로 기쁜 마음으로 하던 일에 대가가 생기는 순간 그 일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게 됩니다. 서로에게 필요한 .. 2023. 7. 6.
[책리뷰][당신이 플라시보다] 플라시보 실험, 후성유전학, 변화 1. 플라시보 실험 1981년 9월 70~80대 남성 노인들을 상대로 22년 젊어진 것처럼 행동하라는 요구로 실험은 시작되었습니다. 젊은 시절 TV 프로그램, 잡지, 뉴스, 음악 등을 노출시켜주고 생활하게 한뒤 그들의 몸상태를 확인했습니다. 결과는 훨씬 더 생리적 구조적 기능적으로 더 젊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노인들은 22년전 사용했던 뇌의 회로들에 불을 켰고 그와 같은 뇌의 변화에 몸도 마술처럼 화학적으로 반응한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가능한 것을 유전자 그리고 22년 젊어진 생각들에 대한 결과로 풀이하게 됩니다. 환경이 보낸 신호에 유전자는 90퍼센트 반응하고, 화학 신호를 보내게 되며 그것에 맞는 단백질이 생성되게 됩니다. 우리는 스스로 어떤 생각과 선택, 행동을 하느냐에 의해 스스로 적당한 유전.. 2023. 6. 21.